Page 223 - 산재보험 60년사
P. 223
산재보험 60년사 제1부 통사(通史) ‘내 일’과 ‘내일’을 지켜주는 사회보험, 산재보험 제6장 동행 2017~2024 일하는 국민 모두가 행복한 시대를 위해
제5절
근로자의 평생 동반(同伴),
산재보험의 미래
01 산재보험에 불어닥친 디지털 전환 열풍
비대면 시대의 일상을 경험한 이후 세상은 달라져 있었다. 그 이전의 ‘디
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 DX)’이 혁신이란 수식어가 붙은 새로운 물결이라면,
신종감염병의 급습으로 인해 새로운 삶의 패러다임을 경험한 국민에게 DX는 이제 일상이
되어 있었다.
산재보험제도 운영 측면에서 매년 늘어나고 있는 산재신청 건수와 그로 인해 가중되는 직
원들의 업무 부담, 그리고 업무상 질병 처리기간의 장기화 추세는 디지털 혁신기술인 RPA
의 도입 검토로 이어졌다.
산재신청 급증과 업무상 질병 처리기간 장기화 추세
구분 2020 2021 2022 2023
산재신청 건 수 14만 7,512건 16만 8,927건 18만 1,792건 19만 6,206건
업무상 질병 처리기간 172.4일 175.8일 182.0일 206.1일
RPA(Robotic Process Automation)란,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사람이 하는 작업을 모
방해 기존 IT 환경에서 동일하게 업무를 처리하는 소프트웨어 로봇을 말한다. 즉 단순 반
복적인 업무를 알고리즘에 따라 자동화해 처리하는 기술을 의미하는 것이다.
근로복지공단은 2021년 9월부터 재해조사 RPA 프로그램 개발에 착수해 사전 검토회의,
도입 분야 및 업무 선정과 정의, 소속기관 의견 청취, 프로그램 개발, 개발 RPA 프로세스
에 대한 중간 점검과 시연회 개최 등을 진행했다. 그 결과 2021년 10월에는 RPA 파일럿 구
축을 완료하고 이후 서울 남부 및 성동 지사, 대구지역본부, 울산지사를 대상으로 시범운
영에 돌입했다. 시범사업 기간은 2021년 12월 20일부터 2023년 6월 30일까지였고 이를
통해 재해조사 3개 분야에 대해 11단계에 걸친 업무자동화 기반을 구축했다.
220 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