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20 - 산재보험 60년사
P. 220

산재보험 60년사                                                                                 제1부 통사(通史)                            ‘내 일’과 ‘내일’을 지켜주는 사회보험, 산재보험                                      제6장  동행  2017~2024   일하는 국민 모두가 행복한 시대를 위해



                                      사정이 이러니 2003년부터 산재 전문 공공병원 설립을 바라는 지역의 요구가 있었으나

                                      경제성이 낮다는 이유로 거듭 고배를 마시며 추진과정이 지지부진했다. 건립사업이 급물

                                      살을 타기 시작한 건 2019년이었다. 이해 1월 울산병원 건립사업이 국가균형발전 프로젝
                                      트 대상사업으로 선정되고 예비타당성 조사가 면제되며 사업이 본궤도에 올랐다. 이어
                                      같은 해 11월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수행한 ‘산재전문 공공병원(울산) 건립사업 적정성

                                      검토’가 완료되며 사업 추진에 탄력이 붙었다.

                                      2020년 10월, 근로복지공단은 울산 산재병원 건설 밑그림을 일반에 공표했다. ‘울산 산재
                                      전문 공공병원 건립공사 기본계획 고시’. 울산 및 부산 지역 산재근로자를 위해 산재 의료
                                      접근성을 높이는 것은 물론, 대표적 공업도시로 분류되는 울산지역의 특성을 반영해 국

                                      내 최초로 직업병 연구와 치료 기능뿐 아니라 전문 재활 프로그램까지 갖춘 거점형 산재

                                      전문 공공병원을 마련한다는 청사진이었다. 당면과제를 해결한 지역뿐 아니라 국가적 차
                                      원에서도 이목이 집중된 사업이었다. 특히 고용노동부는 공공의료 사각지대 해소와 함께
                                      지역 균형발전에도 일조할 순기능이 큰 사업으로 판단하고, 핵심 정책사업으로 분류해

                                      이후 사업 추진과정을 적극 지원해 나갔다.

                                      한편 건설계획은 2단계로 구분해 마련했다. 2020년부터 2026년까지 7년에 걸쳐 진행할
                                      1단계 사업을 통해서는 우선 300 병상과 18개 진료과목을 갖춘 아급성기 치료 및 재활 중
                                      심 병원을 건립하기로 했다. 이와 같은 의료 인프라를 바탕으로 어린이 재활, 장애인 치

                                      과, 수지 접합, 화상 재활, 심뇌혈관 조기 재활 등을 시행하고 감염내과도 운영함으로써

                                      온전한 지역 응급의료기관 기능을 구현하려 했다.
                                      이후 4년에서 5년의 운영 성과를 평가하고 그 결과를 기반으로 500 병상, 20개 진료과목
                                      까지 규모를 확장하는 2단계 건설사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급성기 치료를 중

                                      심으로 한 전문 진료센터로 육성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건립사업이 본격화된 이후에도 기존 산재병원과의 차별화를 위해 연구를 게을리하지 않
                                      았다. 조선·자동차·석유화학 등 대형사업장이 자리하고 있는 울산시의 지역적 특성을 고



                                      울산병원 건립사업 단계별 로드맵

                                         구분                   1단계                             2단계
                                         병원           아급성기, 재활기능 300 병상 종합병원          급성기, 재활기능 500 병상 공공병원
                                         모델            아급성기, 만성기 환자 치료 및 재활          급성기 진료 자체 충족(심뇌혈관센터운영)
                                         인력          총 585명(전문의 54명, 간호직 228명 등)     총 937명(전문의 74명, 간호직 408명 등)
                                                   지역응급의료기관, 심뇌혈관 조기재활, 소아재활        지역응급의료센터, 지역심뇌혈관센터, 소아재활
                                         공공
                                         기능           지역책임의료기관 진료과목 충족,                    모자보건센터(분만)
                                                       지역병원과 급성기 기능 연계





            218                                                                                                                                                                                                                             219
   215   216   217   218   219   220   221   222   223   224   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