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22 - 산재보험 60년사
P. 222

산재보험 60년사                                                                                 제1부 통사(通史)                            ‘내 일’과 ‘내일’을 지켜주는 사회보험, 산재보험                                      제6장  동행  2017~2024   일하는 국민 모두가 행복한 시대를 위해



                                      에 이르며 초고령화 사회 진입을 알렸다.

                                      초고령자가 이처럼 늘자 당장 필수의료 강화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지역사회를 중심으

                                      로 쏟아져 나왔고, 이에 근로복지공단은 공공의료기관 운영 주체로서 맡은 바 소임을 다
                                      하기 위해 현실 가능한 대안을 들고 나왔다. ‘태백요양병원’ 신설이 바로 그것으로, 이는 장
                                      기치료가 필요한 고령·만성 질환에 대한 요양서비스 제공을 위해 설립한 지역 최초의 요

                                      양병원이다.

                                      면밀한 현황 분석으로 현실성 높은 공공병원 설립 모델을 제시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무
                                      엇보다 지역 공동화 현상의 심화로 태백병원에 발생한 유휴병상을 활용해 ‘병원 내 병원’
                                      모델로 개소했다. 이는 태백시 최초 종합병원인 태백병원의 시설과 인력을 그대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을 의미했다. 또 입소할 고령자들이 요양병원의 돌봄서비스뿐만 아니라 신속

                                      하고 정확한 종합병원의 의료서비스까지 받을 수 있어 모든 범위의 필수의료 혜택 제공이
                                      가능하다는 점을 뜻하기도 했다. 특히 태백병원의 MRI, CT 등 첨단 의료장비 이용이 손쉽
                                      게 가능하고 응급환자 발생 시 신속 대처가 가능하다는 큰 장점이었다.

                                      2024년 2월 개원 당시 처음 적용하는 모델임을 감안해 55병상 규모로 개설했지만 추후 요

                                      양환자 수요를 정확히 파악한 뒤, 단계별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현재 시점 고령·만성 질
                                      환에 시달리는 산재근로자에게 적절한 요양서비스를 제공하고 태백지역 주민들의 건강증
            2024.03.25.
            태백요양병원 개원식                진에도 크게 기여하며, 산재보험 의료기관 운영의 모범적인 혁신모델로 평가받고 있다.








































            220                                                                                                                                                                                                                             221
   217   218   219   220   221   222   223   224   225   226   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