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86 - 산재보험 60년사
P. 186

산재보험 60년사                                                                                 제1부 통사(通史)                            ‘내 일’과 ‘내일’을 지켜주는 사회보험, 산재보험                                      제5장  혁신  2008~2016   백년대계를 위한, 마침표 없는 제도 혁신



                                      을 통해 산재근로자가 부담하는 비용 지원도 가능해졌다.





                                      04            장해진단 전문성 확보를 위한 장해진단 전문의료기관제도 도입

                                                    업무상 재해로 요양하고 장해보상을 받은 이후에도 악화되면 재요양 신

                                      청을 하게 되는데, 이때 주치의의 장해 소견과 근로복지공단 자문의 간의 장해등급 간 차

                                      이가 발생해 공정성을 두고 분쟁이 발생하는 사례가 빈번해졌다. 특히 주치의의 호의적
                                      진단과 전문성 부족에 따른 착오 진단으로 요양 종결 후 증상이 악화되어 조기에 재요양하
                                      는 사례는 자못 심각한 문제였다. 이에 장해 상태에 대한 객관적인 확인이 필요하다는 요

                                      구가 잇따랐고, 근로복지공단은 장해등급 판정의 공정성 및 객관성 확보를 위해 장해진단

                                      을 전문으로 하는 ‘장해진단 전문의료기관제도’를 도입해 2016년 10월부터 6개월간 시범
                                      운영에 들어갔다.
                                      장해진단 전문의료기관은 산재보험 의료기관 중 산재근로자의 장해진단을 위해 특화된

                                      의료기관으로서, 전문의 3명 이상이 모여 산재근로자에 대한 장해상태 등을 진단한다. 시

                                      범 운영기간 동안 장해진단 전문의료기관으로는 관절운동기능장해 또는 척추 부위의 장
                                      해(척수손상 포함)가 예상되는 산재 근로자를 대상으로, 전문의 3명 이상의 참여 가능성
                                      과 지역별 분포 등을 고려해 근로복지공단 안산병원, 창원병원, 대전병원, 동해병원 등 4

                                      개소가 선정되었다.

                                      이미 권역별 장해판정 통합심사제도를 시행하는 등 장해등급 판정과 진단의 공정성 강화
                                      를 위한 제도개선이 추진되는 가운데, 장해진단 전문의료기관제도가 추가로 도입됨에 따
                                      라 기존 주치의 중심의 장해진단의 한계를 극복하고 장해진단 과정에서의 브로커 개입 여

                                      지를 차단함으로써 장해판정의 공정성 및 산재근로자의 권익보호에 크게 이바지할 것으

                                      로 기대됐다. 다음 해인 2017년부터는 장해진단 전문의료기관 통합심사 절차를 선별적으
                                      로 도입하고 장해진단 전문의료기관 시범 운영기관을 소속 병원 7개소, 19개 지사 및 지역
                                      본부로 각각 확대했다.





                                      05            산재후유증 추가진료비 지원

                                                    2013년 11월 정부는 국가정책조정회의를 열고 ‘요양 종결 후 진료비 부담

                                      주체 갈등 개선방안’을 논의했다. 그동안 산재근로자는 요양이 종결되면, 후유증상이 나타

                                      나도 산재보험이나 건강보험의 적용을 모두 받지 못해 근로자 또는 사업주가 자가 부담하





            184                                                                                                                                                                                                                             185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