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1 - 수산가족 2025 AUTUMN
P. 21
21
쌀, 재난, 국가
고 한다. 이러한 투입 노동력의 차이는 밀 문화권과 쌀 는 우리 속담이 다 이유가 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그
문화권의 큰 차이로 이어지는데 밀 문화권은 개인 혹 렇다면 이제 이 글을 시작하면서 던진 첫 번째 질문인
은 가족단위의 노동력으로도 충분히 경작이 가능했지 왜 동아시아 국가들의 팬데믹 피해가 더 적었는가에 대
만 쌀 문화권은 마을 공동체 차원에서의 공동 노동력을 한 답을 쌀 문화권의 특성과 연결시켜 저자는 설명한
특정 시기에 집중해야만 수확량을 보장할 수 있었고, 다. 첫째, 동아시아 국가들은 재난에 대비하는 강력한
이러한 특징이 서구의 개인주의와 동아시아의 집단주 관료제국가의 틀을 예전부터 갖추고 있었으며, 재난대
의로 이어졌다는 분석이다. 게다가 동아시아는 서구 유 비성과가 권력(정권)의 명운을 좌우해왔기 때문에 팬데
럽에 비해 상대적으로 자연재해가 많이 발생하는 지리 믹에도 국가적으로 민첩하게 대응할 수 있었다. 둘째,
적 특성이 있다. 동아시아는 대륙의 동안에 있으며, 대 동아시아 지역 사람들은 쌀농사의 특성상 공동체 상호
개 대륙의 동안에는 태풍(허리케인)이 많이 발생한다. 의존적 성향을 지니고 있어서 전염병을 남에게 옮기는
일본이나 중국 남부 지역은 아주 오래전부터 지진의 피 피해를 끼치는 것을 두려워해서 스스로 더 주의를 기울
해도 상당히 컸다. 이처럼 동아시아는 자연재해가 많 이고 조심함으로써 감염 피해를 줄이는 데 기여했다.
이 발생하는 지역이었던 만큼 이에 대처하기 위한 강력
한 관료제가 발전하게 되었다. 저자는 신라시대를 케이 그렇다면 쌀 문화권의 특성은 마냥 밀 문화권에 비해
스 스터디로 연구하면서 재난의 발생 정도와 왕의 재위 좋기만 한 것일까? 쌀 문화권은 마을단위 공동 노동이
기간에 일정한 상관 관계가 있다는 통계를 제시하고 있 없으면 아무리 내 논이라도 제대로 경작을 할 수 없었
다. 즉, 한반도인들은 수백 년 전부터 왕(국가)이 재난에 기 때문에 갈등을 드러내 놓고 표출할 수 없었으며, 공
성공적으로 대처하지 못할 경우 그 권위를 인정하지 않 동체를 이끌어가는 수장의 지시에 반발을 할 수 없었
거나 권력을 빼앗아 왔다. 다시 쌀농사로 돌아오면 언급 다. 그랬다간 내년 모내기 때 아무도 도와주지 않을 것
했다시피 쌀농사는 특정 시기에 맞춰 집중적으로 노동 이기 때문이다. 공동 노동을 하기 때문에 내 논의 수확
력을 투사해야만 성공적으로 수확할 수 있기 때문에 이 량과 옆집 논의 수확량을 비교할 수 있어서 자연스레
시기를 한 마을이 일사불란하게 움직여야 했고, 이를 서로 보이지 않는 경쟁을 하게 되는 관계가 되고, 마을
위해서 우리가 국사시간에 배웠던 ‘두레’, ‘향약’ 같은 제 수장의 결정에 따라 내가 피해를 볼 수도 있지만 그 결
도가 생기고 오랜 기간 동안 유지되어야만 했던 이유인 정에 반대했다가는 더 큰 불이익을 볼 수 있기 때문에
것이다. 이러한 주장은 과연 과학적이고 검증이 가능한 함부로 얘기하지 못하는, 갈등이 해결되기보다는 내재
가? 저자는 쌀 문화권과 밀 문화권을 모두 가지고 있는 화되고 장기화되는 문화가 형성이 되고 이런 문화에서
중국을 대상으로 한 연구를 가지고 와서 저자의 주장 는 오롯이 나만의 행복보다는 남과의 비교가 더 중요한
이 맞다고 얘기하고 있다. 그 연구에 따르면 중국의 쌀 척도가 되게 되고 이는 항상 형평성이나 공정성에 대한
문화권은 상호 의존적이며 전체론적인 사고를 하는 반 집착으로 이어지게 된다. 이러한 공동생산과 협력의 문
면, 밀 문화권은 독립적이며 개인적인 사고를 한다고 한 화는 강한 평등화를 욕망하게 되고 상대적인 불평등에
다. 특허출원도 밀 문화권이 높으며, 이혼율도 높다는게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게 된다. 동아시아 국가들에서 아
연구의 내용이며, 쌀 문화권의 상호의존적 사고는 서로 주 자주 발생했던 농민반란이 이러한 불만의 표출이라
비교하고 이를 통해 행복과 불행이 결정되는 문화가 만 고 저자는 해석하고 있다. 하지만 개인적으로는 남보다
들어졌다는 것이다. ‘사촌이 논을 사면 배가 아프다’라 는 더 가져야 한다는 차별화를 열망하는 이중성을 지니
계열사 최우수 독후감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