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6 - 수산가족 2025 AUTUMN
P. 26

news
            SOOSAN [     ]                    독서 장려 캠페인                                26






              『 조선을 탐한 사무라이』                         선의 관계를 다루며, 조선의 근대화 실패와 일본의 제
                                                     국주의 확장을 설명한다. 조선의 망국과 그 이유, 일본
               이광훈
                                                     이 어떻게 조선을 병합하게 되었는지를 분석한다. 특히
                                                     한국과 일본의 정치적, 군사적 상황을 비교하며, 조선
                                                     의 민중이 겪었던 좌절과 극복의 과정을 서술한다.

                                                     좀 더 책의 내용으로 들어가면 한반도에 터를 잡은 고
                                                     대부터 조선까지의 역사에서 이민족의 외침을 수없이
                                                     당했다. 고려시대 몽골과 금의 침입, 조선시대 임진왜
                                                     란과 병자호란 등 많은 외침이 있었으나 그래도 나라
                                                     가 사라지지는 않았다. 하지만 1910년 8월 29일 이완용
                                                     과 데라우치가 서명한 한일강제합병은 가장 치욕적이
                                                     고 나라와 민족의 근간을 사라지게 한 사건이었다. 저
              책은 모두 네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은 ‘사무라이        자는 다양한 역사적 근거를 들어 외침에 대해 설명하지
              의 혼을 깨운 요시다 쇼인’으로 일본의 조선에 대한 침         만 가장 이해할 수 없는 사건은 이 한일강제합병이 아
              탈이 본격화된 시기와 요시다 쇼인의 역할을 다룬다.           닌가 말하고 있다. 한일합병은 일본에 의해서 이루어진
              조선이 여러 차례 외세의 침략을 당했음에도 국가의 명          강제합병이다. 그래서 나는 한일합병에는 ‘한일강제합
              맥을 유지해왔으나, 일본에 의해 전쟁 없이 멸망한 이          병’이라는 단어로 대체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래야
              유를 분석한다. 요시다 쇼인과 그의 제자들이 어떻게           오해의 소지가 없지 않을까 한다. 저자는 조선이 망하
              조선 침탈을 계획하고 실행했는지, 이들이 조선과 일본,         는 과정에서 일본의 청과 러시아 전쟁을 언급하면서 일
              양국에 미친 영향을 기술하고 있다. 제2장은 ‘회천의 기        본의 국운을 건 모험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하지만 일
              수, 다카스기 신사쿠’로 다카스기 신사쿠의 생애와 그          본의 뒤에는 미국이 있어서 가능한 전쟁이었다는 것을
              의 업적, 특히 일본의 근대화 과정에서의 역할을 설명          간과하는 것 같다. 일본 스스로가 전쟁을 하기에는 여
              한다. 그는 에도 유학 시절 요시다 쇼인을 만나 영향을         전히 기술적 외교적으로 부족했지만 그것을 미국이 해
              받고, 이후 막부 타도를 위해 활동을 한다. 그가 이끌었        결해 준 것이다. 어찌 보면 ‘조선을 탐’한 것은, 보통 ‘탐’
              던 쇼카손주쿠 학파와 그 제자들의 이야기도 다루며,           하는 것은 좋아서인데 일본이 조선을 좋아서 탐한 것이
              일본의 근대화와 군사 혁신에 기여한 과정을 설명한다.          아니라 그저 자신들의 대륙 진출을 위한 발판으로 활용
              제3장은 ‘라스트 사무라이, 사이고 다카모리’에 대해서         하기 위한 침략일 뿐이었다. 만약 조선이 청이나 러시아
              언급하고, 특히 사이고 다카모리의 생애와 그의 군사           와 연합으로 일본과 전쟁을 했으면 결과는 달랐을 것이
              적, 정치적 활동을 중심으로 서술한다. 일본의 근대 국         다. 저자는 고종을 ‘망국의 암군’이라고 지칭하지만 암
              가 형성과정에서 사쓰마번의 역할과 사이고 다카모리            군이라는 단어의 뜻이 ‘무능하며 백성을 괴롭히는 군
              의 마지막 저항을 다룬다. 사이고 다카모리의 반란과           주를 의미’하는데 그 정도의 표현은 과했다고 본다. 조
              그가 일본 근대사에 남긴 영향을 분석한다. 마지막 제4         선은 고종 한 사람의 문제만 있는 것이 아닌 세도정치
              장 ‘오늘도 소나무는 자란다’에서 20세기 초 일본과 조        이후 기득권들의 부정부패가 종합적으로 발생해서 망



                                            메이지 유신 최우수 독후감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