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0 - 수산가족 2025 SUMMER
P. 20
news
SOOSAN [ ] 수산 안테나 20
▶ 최적설계
“이제 기업들은 첨단 기술의 결합으로 ‘가상 제품’을 현실과 가깝게 구현하고, 디지털 트
윈을 활용한 시뮬레이션까지 가능합니다. 특히, 제조업에서는 피도텍의 PIDO(프로세스
통합 및 설계 최적화) 도입을 통해 더욱 효과적으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전통적인 설계
방식에서 벗어나, 주어진 조건 내에서 설계 목적을 가장 효과적으로 달성하는 ‘최적설
계’로 나아가야 합니다.”
최적화는 AI의 궁극적 목표이자, 가장 도전적인 영역이다. 단순한 X, Y의 선형함수에서
는 최적 해를 쉽게 찾지만, 현실 세계의 복잡한 문제들은 대부분 비선형 모델을 따른다.
그래서 특정 부분에서는 ‘국소 최적(local optimum)’이지만, 범위를 넓히면 ‘글로벌 최적
(global optimum)’이 따로 있을 수 있다.
최적화를 위해서는 1)목적함수 2)변수 3)제약조건 세 가지의 시스템적 조건을 만족해야
하며, 이는 일상적인 의사결정에도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 어느정도 복잡성이 있는 문
제까지도 Solver 라는 패키지에서 해결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글로벌 10여 개 국가에
서 가장 최저의 비용을 가진 공급망을 채택하겠다.’ 라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나타난
게 ‘공급망 최적화’다. 그러나 ‘안전하고, 최저비용인 공급망을 채택하겠다.’ 라는 다수의
목적함수를 결합하는 과정으로 나아간다면 시스템 설계에 많은 노력이 필요하게 된다.
국부/전역 최적화
따라서, 다수의 일반 사용자들이 겪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최적화 솔루션 기업
들이 경험을 바탕으로 제품을 공급하고 있으며, 그 중 제조업 설계에 특화된 솔루션이
바로 최동훈 교수의 ‘AADO’와 ‘DAVIS’다.
▶ AADO 기술을 활용한 최적설계 프로세스
데이터 통합 및 분석 → 인공지능 및 머신러닝 도입 → 고성능 컴퓨팅 활용
과거의 노하우나 직관만으로는 더 이상 경쟁에서 우위를 유지하기 어렵다. 설계 히스
토리를 활용해 최적해를 찾아내는 방식으로 전환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DAVIS(Data
Analysis, Visualization, Interactive Storytelling)라는 도구가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