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41 - SJM 50년사
P. 141

통사                                                                            PARTⅤ. 지속가능한 백년대계를 설계하다





                                            보건과 안전, 환경을 위한 ESH 경영 전개

                                            세계적인 관심에 따라 온실가스 감축과 탄소중립 실현은 모두의 해결해야 하는 과제가 됐
                                            다. 안전한 사업활동은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기본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과제인 동시에

                                            최우선 가치로 여겨지고 있다. 특히 2022년부터 시행된 「중대재해처벌법」의 영향으로 사업
                                            장 사고 예방, 재해 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커져 생산현장의 안전성이 무엇보다 중요해졌다.
                                            SJM은 사업의 특성을 감안해 전 사업장에 ESH 경영을 도입했다. ESH는 Environment

                                            (환경), Safety(안전), Health(보건)의 앞 글자를 딴 용어로, 건강하고 안전한 일터 만들
                                            기와 환경보호를 위한 기업의 노력과 활동을 의미한다.

                                            SJM은 모든 임직원이 건강하고 안전하게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체계적이고 실효적
                                            인 안전보건 체계를 구축해 운영하고 있다. 이를 위해 ESH 경영 시스템의 고도화, 참

                                            여와 소통에 기반한 안전보건 문화 확산을 실천해 무재해 사업장을 만들기에 전력을
                                            기울이고 있다.

                                            각 사업장의 환경관리 조직은 환경안전팀, 안전기술팀이 전담조직으로 활동하고 있다. 이
                                            들은 탄소중립 목표 설정과 로드맵 구축 등 환경 이슈 전략을 수립하고 환경 투자계획 등
                                            의 비용 효과를 평가한다. 또한 온실가스 저감 활동 등 기후변화 대응 활동 성과를 모니터

                                            링하고, 주요 기후변화 내용은 각 사업장의 환경 실무 담당자들이 참여하는 실무 조직인
                                            ESG 협력체의 정기적인 회의를 통해 공유한다. 특히 온실가스 저감 활동에 주력하면서

                                            용수 관리와 폐기물 관리 등 환경 대응에 관한 모든 사안을 관리하고 전략을 수립한다.
                                            안전경영의 비전은 ‘안전을 최우선의 가치로 공동의 행복을 추구하는 건강한 기업’이다.
                                            목표는 중대 재해 ZERO, 안전보건 인프라 구축, 자율적 안전보건 관리문화 정착 등으로

                                            설정했다. 안전보건관리책임자는 정책의 수립과 이행 등 안전보건 관련 모든 사항을 총
                                            괄·관리한다. 안전보건관리책임자 산하의 환경안전팀은 각 사업장별 안전관리자를 선임

                                            해 실행력을 강화한다. 노사가 힘을 합쳐 구성한 산업안전보건위원회는 현장에서 수립된
                                            안전보건 목표를 모니터링하고 이행 실태에 대한 점검, 평가, 피드백 활동을 실행한다.

                                            무엇보다 현장 근로자의 건강관리를 위해 연 2회 작업환경측정을 진행하고, 작업 환경
                                            개선과 관련한 내용을 직원들과 공유하고 있다. 특수 유해인자에 노출되는 업무 종사자

                                            전원에게 매년 특수 건강검진을 실시하고 있다. 또한 사업장 내에서 발행할 수 있는 근
                                            골격계질환을 예방하고 관리하는 차원에서 ‘SJM 근골격계질환 종합관리프로그램’을
                                            개발해 시행하고 있다. 질환의 조기 발견을 통해 효과적인 관리 체계를 적용, 직원들의

                                            건강한 직장생활을 책임지려는 목적이다. 2023년 8월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의 바로미터
                                            라고 할 수 있는 국제 표준 규격 ISO 45001 인증을 취득한 이후 더욱 체계적이고 효율

               2023.08.30. 안전보건경영시스템 인증서    적인 안전보건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139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