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2 - 수산가족 2025 SUMMER
P. 62

culture
            SOOSAN [        ]                   수산테크톡                                  62




                      글. 수산그룹
                      전략기획실 신사업추진팀
                      이은택 과장



            검색, 요약, 번역까지!

            정보 리서치에 필요한 AI 도구 리스트


            많은 분들이 논문을 뒤지고, 외신을 정리하고, 해외 기           이럴 때, 생성형 인공지능(AI) 도구들이 실질적인 해답이
            술 보고서를 한국어로 옮기느라 시간을 쏟아 본 경험이            될 수 있습니다. 특히 최근의 AI 도구는 논문 검색과 요
            있으실 겁니다. 기획, 전략, R&D, 사업개발 등 부서는 달       약, 자료 해석, 정보 수집, 번역 등에 특화되어 있어 현업
            라도 결국 마주치는 과제는 비슷합니다.                    에 곧바로 적용할 수 있을 만큼 완성도가 높습니다. 아래
                                                     소개해 드릴 네 가지 도구는 제가 실제 전략기획 업무에
            “지금 어떤 자료를 찾아야 하지?”                      활용하고 있는 툴입니다. 회원가입만 하면 누구나 무료
            “찾은 자료를 어떻게 정리해서 전달해야 하지?”               로 시작할 수 있습니다.






                논문 요약과 의견 정리까지 한 번에                      논문과 대화하며 요점을 파악

                ‘Consensus’는 학술 논문을 검색하고, 그 안            ‘SciSpace’는 논문 한 편을 선택하면, 해당 논
                에 담긴 의견들을 분석, 요약해 주는 서비스입                문에 대해 질문을 던지고 답변을 받을 수 있는
                니다. 논문마다 결론이 다를 때, 찬반 비율을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논문 전체를 읽지 않
                시각화해서 보여 주는 기능도 갖추고 있습니                  아도 핵심 결론이나 연구 방법, 실험 조건을 바
                다. 검색창에 ‘Does carbon capture reduce      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논문 제목을 클릭한
                overall emissions?(탄소 포집이 전체 배출량         뒤, ‘Chat with paper’ 버튼을 누루고 ‘What is
                을 감소시키나요?)’라고 입력했을 때, AI가 관              the main conclusion of this paper?(이 논문
                련 논문 20편을 읽고 각각의 결론을 요약하고                의 주요 결론은 무엇인가요?)’, ‘What was the
                “Yes/Possibly/No”로 정리된 응답을 도출하며          sample size and experiment duration?(표본
                연구방법, 표본 크기 등 핵심 정보까지 모두 정               크기와 실험 기간은 어떻게 되나요?)’와 같은
                리해서 보여 줍니다.                              질문을 입력하면, 해당 문단을 찾아 인용과 함
                                                         께 설명해 줍니다.





                         Consensus 활용해 보기!                         SciSpace 활용해 보기!  SciSpace
                                            Consensus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