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03 - 농협은행 10년사
P. 303

Part.03
                                                                                             현황으로 살펴보는 NH농협은행


               03  주요 성과

                  개인디지털플랫폼부의 금융 패러다임 변화 대응
                  2012년 e비지니스부를 시작으로 스마트금융부를 거쳐 2017

               년 비대면 채널 영업 및 핀테크 사업추진을 위한 디지털뱅킹본부
               를 신설했다. 핀테크 활성화 정책, 인터넷 전문은행 출범 등 거대
               한 변화의 파도 속에서 비대면 채널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2018
               년 4차 산업혁명 대응 실행력 제고를 위해 디지털뱅킹본부를 디

               지털금융부문으로 개편했다. 디지털 네이티브 고객의 등장, 금융
               서비스에 대한 기대수준 증가, 빅테크·네오뱅크의 출현으로 업종
                                                                2019.7.22.  모바일 가상지점 「NH LINK」 출시
               간 경계는 무너지고 금융 생태계가 재정의되는 변혁을 마주하며
               신속 대응을 위한 운영체계 역시 재설계되었다. 2019년 디지털금             을 제거했다. 나아가 1인 1점포 ‘NH모바일브랜치’ 서비스로 온·오
               융부문을 분사 형태로 운영하여 부문장 권한을 강화하고 애자일                프라인을 연계하는 새로운 영업환경을 구축했다. 2020년 디지털
               조직 Cell을 시범 도입해 디지털금융 경쟁력 강화를 위한 조직 자            금융 고도화 프로젝트를 통해 주요 프로세스를 간소화하고 모바

               율성 및 실행력도 제고했다.                                  일에 적합한 UI/UX를 구현하였으며 비대면 기한연기제도, 신용
                                                                대출 통합추천 프로세스 도입 등으로 고객 여정의 완결성을 높였
               Full-Baking 서비스와 생활금융서비스                         다. 2021년 4월부터는 디지털부서 간 네트워크 구축·협업을 통해

               2018년 12월 ‘One App-One Process’를 추구하는 사용자 중심의 뱅  일관된 고객 경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디지털 채널 팀 밋업(Meet
               킹 플랫폼 구축을 위해 NH스마트뱅킹을 중심으로 5개의 앱을 통              Up)’을 운영하고, 7월에는 고객중심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스마트
               합한 ‘통합 스마트뱅킹’을 출시해, 고객 편의성을 제고하고 채널 집            뱅킹 융합센터를 신설했다.

               중에 따른 이용 활성화 성과를 이뤄냈다. 2019년 오픈뱅킹 서비스            또한 플랫폼 우위 선점을 위해 2020년 ‘올원뱅크-네이버 퍼블릭
               를 구축하고 모션뱅킹, 위젯 등 간편 서비스를 도입하였으며 비대              클라우드’를 도입해 신사업을 발굴하고 전행 확산 기반을 구축했
               면 상품 시스템 고도화를 통해 Full-Banking 서비스를 구현했다.          다.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신원증명 ‘마이아이디(MyID)’를 도입해

               2016년 8월 출시된 NH농협은행 대표 플랫폼 올원뱅크는 고객               비대면 실명확인 안정성을 확보하고 고객 편의성도 높였다. 빅데
               의 일상에 스며드는 생활밀착형 서비스를 선보이며 불과 출시 5               이터 기반의 개인별 금융정보를 흥미롭게 구현한 ‘금융생활 PEEK’
               년만인 2021년 700만 회원을 달성했다. ‘생활금융플랫폼’을 위해           를 출시해 축적된 데이터를 개인화 서비스에 적용했으며, 2021년
               고객이 자주 찾는 서비스는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추가로 올원×               글로벌 해외결제 플랫폼을 구축해 약 100개국에서 카드 실물 없

               LYVLY, 올원×플라워, 올원×방문택배, 올원공구 등 다양한 제휴 서          는 NFC, QR 간편결제서비스를 시행했다.
               비스를 제공해 고객 편의성과 범농협 시너지를 창출했다. 아울러               고객의 거래 안전성 제고에도 노력을 기울였다. 2018년 이후 매년
               스마트스쿨뱅킹, 교육청 스마트고지 등 고지 및 납부서비스를 제               FDS 고도화를 통해 전자금융사고를 예방하고, 고객 프로파일링

               공해 플랫폼 이용률을 제고했다.                                을 통한 분석기능 강화, 머신러닝 기법 도입으로 탐지기능을 강화
                                                                했다. 2021년에는 명의도용 사고 관련 탐지룰을 강화해 총 1,389
               고객중심 플랫폼, 1,000만 고객을 위한 혁신                       건, 115억 7,900만원의 사고예방 실적을 기록했다.

               공급자에서 수요자 중심으로 뱅킹서비스가 전환되면서 디지털금                 인증체계도 개편했다. 2020년 9월 도입한 개방형 통합인증플랫
               융부문도 2019년 앱 설치 없이 모바일 뱅킹서비스와 상품 가입              폼 「NHOnePASS」는 생명, NH손해보험, 유통 등 각각 다른 계열
               이 가능한 모바일 브랜치 ‘NH LINK’를 출시하여 앱 다운로드 장벽          사의 서비스 이용 시에도 마치 ‘하나의 앱’처럼 이용이 가능하도



                                                                                                           301
   298   299   300   301   302   303   304   305   306   307   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