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44 - 농협은행 10년사
P. 244
행복한 금융,
사랑받는 일등 민족은행
RPA시스템의 전방위적 활용
NH농협은행은 2018년 12월 ‘RPA 컨트롤룸’을 구축하고 가계여신·기업여신·카
드 등의 주요 업무에 RPA(Robotics Process Automation, 로봇프로세스자동화)
를 도입했다. 운영 로봇 40대로 국내 금융사 중 최대 규모였다. 업무영역도 개인
여신 자동기한연기, 카드가맹점 계좌 검증·비대면 카드심사·기업체 휴폐업 정
보조회 등의 7개 프로세스에 적용했다.
단순 반복적인 후선업무 중심이 아닌 인터넷뱅킹과 고객센터, 모집인, 제휴기관
등의 다양한 채널과 연결해 실시간 심사 및 계정처리가 가능한 RPA를 구축하
며, 금융권 RPA의 도입범위를 한 단계 확장했다.
NH농협은행의 RPA 도입 속도는 더욱 빨라졌다. 1년 만인 2019년 12월 다시 39
개 업무에 로봇 120대 규모를 도입한 고도화 사업을 완료했다. RPA 적용 업무
유형도 기업여신 금리승인, 수입신용장 인수금리 승인, 관심기업 모니터링 등
여·수신, 외환, 카드, 마케팅, 리스크관리 등 본부 업무 전방위로 확대되어 연간
약 20만 시간의 업무량 절감 효과를 예상했다.
또한 2020년 10월에는 금융권 최초로 인공지능(AI) 기술 기반의 RPA시스템을
통해 ‘투자상품 불완전판매 점검 고도화 프로젝트’를 완료했다. 인공지능 기반
자동화 로봇은 매일 전국 영업점에서 발생하는 수천건의 투자상품 거래신청서
점검을 통해 서류 불비항목 추출, 미흡사항 영업점 전달 및 보완 등 불완전판매
사후관리에 활용되며, 점검 결과는 직원 교육 자료로 활용했다.
한 달 뒤에는 자금세탁방지 업무에 RPA, PPR 등 디지털 기술을 적용해 ‘자금세
탁방지시스템 고도화 프로젝트’를 완료했다. 자금세탁 및 테러자금 조달 등 위
험거래 사전 차단을 위한 선진화된 시스템 구축을 위해 2020년 4월부터 진행되
었고 영업점 AML업무 프로세스 및 시스템 개선으로 고객 편의성과 업무 효율
2018.11.30.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RPA 도입
242